지산샛강생태공원
큰고니의 소중한 겨울 서식지
기본 정보
위치
경상북도 구미시 지산동
특징
습지 생태계, 철새 서식지
주요 서식 동물
큰고니 (천연기념물 제201호)
큰고니 관찰 시기
11월 ~ 3월 (겨울철)
생태적 가치
지산샛강생태공원은 시베리아에서 날아온 큰고니들이 겨울을 나는 중요한 서식지입니다. 천연기념물 제201호이자 멸종위기종인 큰고니가 매년 이곳을 찾아와 우리에게 소중한 자연의 가치를 보여줍니다.
습지 생태계의 보고인 이곳은 다양한 동식물들의 터전이 되고 있으며, 환경 교육의 장으로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교통 정보
🚌대중교통
11번, 23번 버스 이용
구미역 → 지산동 방면
🚗자가용
무료 주차 가능 (50대 규모)
네비: "지산샛강생태공원"
방문 가이드
관찰 팁
- ✓이른 아침이나 저녁 시간 적합
- ✓쌍안경 준비 권장
- ✓조용히 관찰하여 동물 보호
- ✓겨울철 방한 준비 필수
편의시설
- 🚻화장실 (공원 입구)
- 🏛️정자 및 벤치
- 🚶산책로 및 안내판
관련 정보
지산샛강생태공원 - 한국관광공사
경북 구미시에 위치한 도심 속 힐링 공간으로, 겨울철 철새들의 서식지입니다. 큰고니를 비롯한 다양한 철새들을 관찰할 수 있는 생태공원으로, 사계절 각기 다른 매력을 제공합니다.
- • 봄: 벚꽃길과 신록
- • 여름: 연꽃 군락지
- • 가을: 단풍과 갈대
- • 겨울: 철새 관찰 (큰고니 포함)
큰고니 보호 관련 최근 소식
구미 지산샛강에서 일어나고 있는 큰고니 보호 활동과 관련된 주요 뉴스들을 모아보았습니다.
큰고니, 지산샛강에서 폐사 - 오마이뉴스
2024년 말, 구미 지산샛강에서 큰고니가 폐사한 채 발견되었다. 전깃줄 충돌이 원인으로 추정되며, 생태계 보호에 대한 지역사회의 경각심을 불러일으켰다.
기사 원문 보기 →지산샛강에서 또 큰고니 폐사…일주일 새 3마리 사망 - 오마이뉴스
2025년 1월, 지산샛강에서 큰고니 3마리가 연이어 폐사하고 1마리는 구조되었다. 전깃줄 충돌이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으며, 시민들은 근본적인 대책을 촉구하고 있다.
기사 원문 보기 →다리 마비된 큰고니, 샛강에 던져져 익사 - 뉴스펭귄
전깃줄에 걸려 다리가 마비된 큰고니가 구조되지 못하고 방치되어 익사한 사건이 발생했다. 구조 체계 미비와 행정의 미흡한 대응이 도마에 올랐다.
기사 원문 보기 →시민 관심 증가…구미시 "전선 지중화 논의 중" - 오마이뉴스
큰고니 폐사에 대한 보도가 이어지자 시민들의 관심이 높아졌고, 구미시는 전선 지중화를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실질적인 개선 조치의 실행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다.
기사 원문 보기 →지산샛강, 큰고니 주요 서식지로 부상 - 오마이뉴스
지산샛강은 시베리아 등지에서 날아온 큰고니가 겨울을 나는 주요 서식지로 주목받고 있다. 보호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기사 원문 보기 →전선 지중화로 조류 보호 사례 - 경향신문
순천시는 흑두루미 보호를 위해 전선 지중화를 시행했고 조류 충돌 사고를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이 사례는 구미시가 참고할 만한 보호 정책으로 주목된다.
기사 원문 보기 →큰고니에 대해 알아보기
🦢 기본 정보
🌍 생활사
⚠️ 주요 위험 요인
전선 충돌
비행 중 전깃줄에 충돌하여 부상하거나 사망하는 경우가 가장 많음
서식지 파괴
도시 개발로 인한 습지 감소와 수질 오염
인간 간섭
과도한 관찰, 먹이 급여, 소음 등으로 인한 스트레스
현재 진행 중인 보호 활동
🏛️정부 및 지자체
- ✓전선 지중화 검토 중
- ✓생태공원 관리 및 모니터링
- ✓구조 체계 개선 논의
- ⏳안전장치 설치 계획
👥시민 및 환경단체
- ✓큰고니 보호 캠페인 전개
- ✓서명 운동 및 인식 개선
- ✓갈대숲 복원 활동
- ✓SaveSwan 플랫폼 운영
🚨긴급 상황 시
큰고니 부상/폐사 발견 시
구미시청 환경안전과: 054-480-5292
경북야생동물구조관리센터: 054-840-8250 / 8251
* 구미시청: 현장 신고 접수, 지역 기초 대응
* 경북센터: 환경부 지정 전문 구조 치료 센터, 큰고니 구조 경험 다수
환경 오염/위험 요소 발견 시
환경신문고: 128 (국번 없이)
구미시 환경관리과: 054-480-5272~5276
* 수질오염, 쓰레기 투기, 위험 시설물 등
* 환경신문고(128)는 해당 지역 환경부서로 자동 연결됩니다
* 구미시 환경관리과는 환경오염 사고 초동 대응 담당입니다